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1

망원경 망원경은 렌즈, 거울 등의 광학기기를 이용해 가시광선, 적외선, 엑스선, 전파 등의 전자기파를 모아 멀리 있는 물체를 관측하는 장치다. 망원경으로 다루는 전자기차의 파장에 따라 광학 망원경, 전파 망원경 등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으로 망원경이라고 하면 가시광선을 보는 광학 망원경을 일컫는 경우가 많다. 망원경은 주로 천문학에서 사용되고, 이 외 군용 및 레저용으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망원경은 1611년에 그리스 수학자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시연한 관측기기를 일컬으며 처음 사용한 기록이 존재한다. 최초의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에서 한스 리퍼세이 등이 발명한 굴절 망원경이다. 이 후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망원경을 개선하여 천문학 관측에 사용했다. 빛을 모으는 역할을 하는 대물렌즈를 거울로 바꾸며 반사 망.. 2022. 10. 10.
천문학에 대하여 천문학은 인간이 하늘에 대해 관심을 가지며 동서양 양쪽에서 가장 일찍 태동한 학문 중 하나이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농사와 날씨 예견 그리고 해양 지리 관측과 측량이 그 주요 동기라고 볼 수 있다. 어떤 지역에선 스톤헨지처럼 천문학적 목적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거대한 유적이 건설되기도 했다. 제사 같은 종교적 목적 외에 이러한 천문대들은 1년의 길이를 재거나, 매해 일정한 시기에 농사를 짓고 수확하기 위해 관측되는데 썼을 것으로 추정된다. 망원경이 발명되기 전 천문관측은 높은 건물 같은 곳에서 맨눈으로 이뤄졌다. 문명이 발전하며 특히 메소포타미아, 중국, 이집트, 그리스, 인도, 마야 문명 등에서 천문대가 만들어졌고 우주 본질에 대한 탐구가 시작됐다. 초기 천문학은 오늘날에 측성학으로 알려진 하늘에서 별.. 2022. 8. 22.
은하수 은하수는 태양계가 속해있는 은하이며 국부 은하군의 일부인 막대 나선 은하로 우주에 있는 약 2조 개의 은하 가운데 하나이다. 고유어로는 미리내, 한자로는 은하, 운한, 우한이라고도 한다. 은하의 나선 팔 중 하나에 있는 지구에 위치에서 볼 때 은하수는 밤하늘에 천구를 아치형으로 가로지르는 흰 빛의 흐릿한 띠 모양으로 보인다. 그 빛은 별과 은하면 안에 있는 다른 물질로부터 유래한다고 한다. 은하의 면은 황도에 약 60도 기울어져 있고 은하 북극은 적경 12h 49m 적위 +27.4도로 beta comae berenices 근처에 위치하고 은하 남극은 alpha sculptoris 근처이다. 은하의 중심은 궁수자리 방향에 위치하고 이곳이 은하가 가장 밝게 보이는 곳이고 천구의 적도에 관해 은하 북쪽으로 카.. 2022. 8. 22.
갈릴레오 갈릴레이 갈릴레오 갈릴레이는 이탈리아의 철학자이자 과학자, 물리학자, 천문학자이다. 갈릴레오는 실험과 수학의 혁신적 조합을 통해 운동에 관한 과학에 기여를 했다. 1609년 망원경을 계량하여 이것을 천체 관측에 응용해 목성의 위성, 달의 반점, 태양의 흑점 등을 발견하여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이 정당함을 입증했다. 이듬해 피렌체 대공인 메디치 가의 코지모 2세의 초청을 받아 피렌체에 부임해 연구를 계속했다. 1610년 갈릴레오는 1월 내내 밤중에 하늘을 관측한 끝에 금성이나 화성이 태양 주위를 도는 것처럼 목성 주위를 배회하는 세별이 있다는 결론에 이르게 됐다. 이 별들은 목성 주위를 도는 목성의 위성이다. 목성의 위성들에 대한 그의 천체 관측 사항들을 이용해 태양 중심설, 즉 당시 지배적이었던 프톨레마이어스와 아.. 2022. 8. 22.